티스토리 뷰

 

 

💻 컴퓨터 절전 모드 vs 전원 끄기 – 전기요금 차이 정리

 

컴퓨터를 끌 때 절전 모드로 둘지, 완전히 전원을 꺼야 할지 고민되시죠?

전기요금 차이가 얼마나 나는지, 어떤 상황에 어떻게 사용하는 게 효율적인지 정리해드립니다.

 

✅ 결론 먼저!

 

전기요금 차이는 있지만, 생각보다 크진 않습니다.
하지만 사용 빈도, 시간, 장비 수가 많아질수록 누적 차이는 커질 수 있어요.

 

🖥️ 절전 모드 vs 전원 끄기 비교

 

절전 모드

 

- 상태: RAM 작동 유지, 최소 전력 사용
- 소비 전력: 약 2~5W/h
- 장점: 빠른 재시작, 작업 유지 가능
- 단점: 미세한 전력 소모 지속

 

전원 끄기

 

- 상태: 시스템 완전 종료
- 소비 전력: 약 0~1W/h (대기전력)
- 장점: 전기 완전 차단, 안정적
- 단점: 재부팅 시 약간 느릴 수 있음

 

 

 

 

📊 월 전기요금 비교 (하루 8시간 사용 기준)

 

- 절전 모드: 약 1.2kWh → 약 120원
- 전원 끄기: 약 0.24kWh → 약 24원


💡 차이: 월 약 100원, 연간 최대 1,000~2,000원

 

📌 어떤 상황에서 뭘 써야 할까?

 

- 장시간 외출/외박: 전원 끄기 추천
- 1~3시간 내 재사용 예정: 절전 모드
- 노트북 사용 시: 절전 or 최대 절전 (배터리 절약)

 

⛔ 모니터 주의!

 

모니터가 절전 설정 안 되어 있으면 의미 없습니다! 모니터는 20~60W까지 소비할 수 있으니 자동 꺼짐 설정은 필수

 

✅ 결론 요약

 

- 개인 PC 1대 기준: 전기요금 차이 미미
- 다수 장비 운영 시 절전모드보다 전원 끄기 효율적
- 설정 잘 해두면 절전 모드로도 충분히 경제적입니다